24시영업 23

[선릉역/역삼동 맛집] 선릉설렁탕 – 곱창전골,두부전

[선릉역/역삼동 맛집] 선릉설렁탕 – 곱창전골,두부전( 24시간 영업하는, 30년 전통의 설렁탕 전문점 )- 가게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글 하단에 있습니다. - 역삼동에 사는 친구가 한잔하자고 불렀다.늦은 밤이지만, 그래도 강남이라 영업하는 술집이나 가게가 많을주 알았는데, 전혀 그렇지 않았다.선릉 주변은 직장이 많아서 오히려 늦게하는 식당은 없었고, 그나마 불켜진 곳은 BAR나 유흥업소, 고급술집 정도였다.동네를 배회하다가 우리가 들어간 곳은 '선릉설렁탕'이란 곳이다.친구가 종종 설렁탕 먹으러 가는곳이라는데, 탕 맛이 나쁘지 않다면 여기 가자고 한다.딱히 문 연곳도 없고, 문 연곳 중 땡기는 곳도 없어서 그리하기로 했다.조금은 후미진 골목에 있는 선릉설렁탕은, 그래도 30년인 넘는 업력을 자랑하고 있다..

[봉천동/보라매동 맛집] 나주곰탕 당곡점 – 특곰탕

[봉천동/보라매동 맛집] 나주곰탕 당곡점 – 특곰탕- 가게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글 하단에 있습니다. - 관악구의 괜찮은 국밥집은 순댓국이나 설렁탕 위주라, 깔끔하고 시원한 나주곰탕을 먹기가 쉽지 않다.그나마 먹을만한 나주곰탕집은 고시촌에 있어서 가기가 쉽지 않다.그러던 중, 오픈한지 얼마되지 않은, '나주곰탕 당곡점'이라는 나주곰탕집이 보여서 한번 방문해보았다.간판에 있는 황소모양의 심블을 보니, 봉천역 근처에 있는 나주곰탕집과 관련 있어 보인다.( 봉천역에 있는 나주곰탕집에서 종종 점심 장터국밥을 먹었는데, 가성비가 괜찮았다) 24시 오픈 식당이 점점 없어지는 추세인데, 여긴 24시영업을 한다.네이버에는 주차가 가능하다고 나왔는데, 주차에 대한 안내문은 보지 못했다.( 당곡사거리에 주차 할 곳이 흔치..

[부산 동래역/온천천 맛집] 장수촌24시순대돼지국밥 – 돼지국밥

[부산 동래역/온천천 맛집] 장수촌24시순대돼지국밥 – 돼지국밥( 보급형 돼지국밥집의 표준 )- 가게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글 하단에 있습니다. - 온천천은 연제구와 동래구에 사는 사람들에게 아주 유용한 하천이다.보수를 하기 전에는 오물과 악취 때문에 멀리했지만, 지금은 산책로, 벚꽃길, 운동시설이 아주 잘 되어있다.오랜만에 온천천을 방문하여, 종종가던 돼지국밥집을 찾았는데, 건물 자체가 없어졌다;;;( '둘메돼지국밥'이라고, 주변 사람들은 다 아는 곳이다.)그래서 찾게 된 곳이, 오늘 소개할 '장수촌24시순대돼지국밥 수안점'이다.이 곳은 돼지국밥 체인점으로, 부산 일대에 여러 곳이 있다.부산에는 장수촌과 유사한 명칭의 식당이 많은데, 어디가 본점인지는 모르지만,내가 처음 '장수촌돼지국밥'이란 식당을 방..

[신림동/신림 맛집] 옛날농장 – 수제돼지갈비

[신림동/신림 맛집] 옛날농장 – 수제돼지갈비( 당곡사거리에 위치한, 24시간&연중무휴 영업하는 고깃집 )- 가게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글 하단에 있습니다. - 신대방역과 서울대입구역을 잇는 '봉천로' 주변에는 숨은 맛집과 큰 규모의 식당이 많다.지역주민에 밀접하게 장사하는 곳들이라, 역 주변 식당에 비해 맛이나 가성비가 괜찮은 곳이 많은 편이다.오늘 소개할 '옛날농장'도 가성비 괜찮은 고깃집으로 일대에 소문이 난 곳이다.연중무휴, 24시간영업한다는 엄청난 메리트를 가진 '옛날농장'을 소개한다.( 식당 뒤로 주차장이 있어서 주차 걱정도 없다. )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고기가 진열된 냉장진열장이 보인다.항상 손님이 많은 곳이라 고기 선도가 괜찮다. 내부 모습이다.홀은 좌우 양측에 있는데, 우측은 입식테이블로..

[부산/사상역 맛집] 합천일류돼지국밥 – 돼지국밥

[부산/사상역 맛집] 합천일류돼지국밥 – 돼지국밥(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인근에서 가장 높은 인지도를 가진 식당 ) 부산에 갈 일이 있으면, 돼지국밥은 꼭 챙겨먹는다. 요즘은 서울에서도 돼지국밥을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지만, 지역별 입맛이 다른 만큼, 돼지국밥의 맛도 지역에 따라 다르다. 곰탕, 설렁탕에 비해 묵직하고, 직관적이며 농진한 맛이 있는 전통적인 돼지국밥의 맛은 절대 서울에서 맛볼 수 없다. 하지만, 진한 돼지국밥에서 나는 특유의 돼지내 때문에 거부감을 가지는 사람도 많다. (사실, '돼지국밥'이라는 1차원적이고 직설적인 음식명에서부터 돼지내가 느껴진다.) 그런 이유때문에, 오랜 시간동안 돼지국밥은 경상도를 벗어나지 못한 채 지역향토음식으로 남아있었다. 그나마 '수육국밥'과 같은 은유적 네이..

[봉천역/봉천 맛집] 송탄부대찌개 – 부대찌개

[봉천역/봉천 맛집] 송탄부대찌개 – 부대찌개( 연중무휴 & 24시간 영업하는 부대찌대 식당 ) '부대찌개'는 한국전쟁과 기근에 시달렸던 50~70년대의 아픔을 간직하고 있는 음식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미군 부대에서 나온 부산물로 찌개를 끓였다고해서 '부대찌개'라 불리고 있다. 가난했던 시절과 군부대 부산물이란 이미지 때문에 '짬'이라고 불리는 군 내 음식물 쓰레기를 끓인게 부대찌개의 시초라는 설이 있긴 하지만, 이건 '꿀꿀이죽'을 말하는 것이지 부대찌개의 시초로 보긴 어렵다. 실제로 부대찌개를 처음 판매한 것으로 알려진 의정부의 '오뎅식당'이 부대찌개를 만들게 된 것은, 미군부대에서 일하던 분이 군부대 식자재를 주면서 요리를 만들어달라고 한 것이 계기가 됐다고 한다. 이렇게 부대찌개가 탄생한 ..

[낙성대역/낙성대 맛집] 큰맘할매순대국 – 토종순대

[낙성대역/낙성대 맛집] 큰맘할매순대국 – 토종순대( 가게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글 하단에 있습니다. ) 순대국에 들어가는 순대와 국물을 공장에서 대량으로 싸게 만들수 있게 되면서, 체인점 형태의 순대국집이 넘쳐나고있다.특히 유명연애인을 앞세우고, '할매'를 넣은 순대국 프렌차이즈가 많다.오늘은 그런 곳의 대표적인 식당 '큰맘할매순대국' 낙성대역점을 리뷰해본다. 순대국 체인점의 가장 큰 메리트는 가격경쟁력과 24시간 영업한다는 것~!!!이 곳도 24시간 영업을 한다.( 사실 그래서 방문을 했다. 지인과 새벽녘에 술 한잔 할 곳을 찾다가 가게되었다. ) 원목의 의자식 테이블은 어느 체인점이나 동일한듯하다. 관악구에 있는 다른 순대국집을 많이 갔는데, 여기만큼 큰 곳은 못본듯하다. 나름 오픈형 주방이다. 추..

[신림역/신림 맛집] 만리장성 – 중국집,짜장면,탕수육

[신림역/신림 맛집] 만리장성 – 중국집,짜장면,탕수육( 24시간 영업 & 배달하는 중국집 ) 신림동엔 원룸이 많은 만큼 괜찮은 배달음식점도 많다. 그런데, 생각보다 배달 중국집 괜찮은 곳은 보이지 않는다. 배달 앱의 리플을 봐도 다 거기서 거기고, 실제 맛도 그냥 그런 곳이 대부분이다. 그러다보니 필자의 집에서 며칠 신세를 지게 된 친구가 중국음식을 먹자는데도 딱히 떠오르는 배달 중국집이 없다. 차라리 홀이 있는 중국집에 가는게 낫겠다 싶어 방문한 곳이 '만리장성'이다. 만리장성의 최대 장점은 24시간 영업한다는 것인데, 그로 인한 단점도 많다. 특히 주변 지인들에서 나오는 말이 시간대에 따라 맛 차이가 크다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그런 얘기를 하니, 짜장면 한그릇 먹으러 가는게 마치 복권 긁는 기분..

[부산 해운대 맛집] 금수복국 – 복지리,복까스

[부산 해운대 맛집] 금수복국 – 복지리,복까스( 초원복국과 함께 부산을 대표하는 복집 '금수복국' ) 복어에 관해서 소동파는 말했다. '죽음과도 바꿀 맛'이라고 말이다. 복어가 그만큼 맛이 좋다는 말이지만, 죽음을 부를 수 있는 위험한 생선이란 말이기도 하다. 청산가리의 10배가 넘는 강력한 독을 가진 복어는 미량으로도 사람을 죽음에 이르게 하기에, 복어조리기능사 자격증이 있는 사람 만 복조리를 할 수 있다. 그런 이유 때문인지, 복어요리는 있는 집 사람들이 먹는 요리란 인식이있다. 그런 인식이 전혀 틀린건 아닌게 황복과 같은 고급 복은 수십만원을 내도 먹기 힘들다. 그러나 복어의 종류가 전세계적으로 100여종이 넘고 한국 일대도 10여종이 되기에, 은복 같이 서민이 즐기기에 부담없는 가격의 복어도 있..

[당산역/당산 맛집] 김둘레순대국 – 순대국

[당산역/당산 맛집] 김둘레순대국 – 순대국( 내용물은 풍성, 맛은 풍부, ) 대학시절, 딱히 볼 일이 없어도 당산역은 자주 갔었다. 기분이 울쩍하거나, 캔맥주 한잔 하고 싶을 때, 당산역 옆 둔치에서 한강과 당산철교를 바라보며 시간을 보내곤 했었다. 그 때는 9호선이 개통 되기 전이고, 당산역에서 한강시민공원으로 바로 갈 수 있는 진입로와 엘르베이트도 없었다. 주변 식당도 이조보쌈을 제외하곤 그냥 그런 술집이 전부였기에, 항상 4번 출구 편의점에서 캔맥주와 주전부리를 사서 둔치로 향했다. 지금은 당산역 주변 둔치가 마치 습지 옆 숲 처럼 변했는데, (덕분에 밤에 가면 조금 오싹하다.) 2000년대 초중반만해도 넓적하고 평평한 시멘트구조물(?)이 강 옆으로 이어져있어서, 강 바로 옆에 돗자리를 펴고 앉을..

반응형